Skip to content

RIDI

  • About
  • Business
  • Story
  • Newsroom
  • Contact
  • Career
  • About
  • Business
  • Story
  • Newsroom
  • Contact
  • Career
  • 개인정보처리방침
  • facebook
  • twitter
  • kakaotalk
  • URL Copy
Sharing

콘텐츠 테크 기업으로서 도약 ━ 리디 개발센터의 다음 비전

I am RIDI_이호석 I Head of Engineering

2025년 10월 27일
I am RIDI는 리디의 성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구성원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은 인터뷰 시리즈입니다.
다양한 직무의 리더스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도전하는 여정을 통해 리디의 비전을 공유합니다.

.

콘텐츠 경험을 기술로 완성하다
.

“리디는 콘텐츠 테크 기업입니다.”
AI와 인프라 혁신을 통해 기술이 단순한 지원 단계를 넘어
경험을 설계하고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핵심이 되도록 이끄는 사람, 

리디 개발센터장(Head of Engineering) 이호석 님을 소개합니다.

.

기술로 콘텐츠의 본질을 완성하다

┃기술이 곧 콘텐츠 경험의 품질을 결정합니다.

패션테크 기업 CTO와 AI 창업을 거쳐 리디에 합류한 호석님은 ‘콘텐츠 테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술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

Q. 리디 개발센터장으로서 어떤 역할을 맡고 계신가요? 

15년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으며, 리디의 기술 방향, 시스템 설계, 인력 운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스를 전공한 뒤 다양한 스타트업에서 앱 서비스와 AI 연구를 오가며 기술로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지금은 그 경험을 바탕으로 리디가 ‘콘텐츠 기업을 넘어 테크 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기술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리디의 서비스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인프라 고도화와 AI·데이터 기술의 내재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기술이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비즈니스 가치를 만들어내는 힘이 되도록 팀을 이끌고 있습니다. 

Q. 지금까지 경험한 개발문화가 지금의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이전에는 주로 스타트업에서 일하며 속도와 실행력이 핵심인 문화를 경험했습니다. 보통 1~2주 단위의 스프린트로 기획과 개발이 동시에 움직였고, 초반엔 다소 거칠더라도 반복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팀의 리듬이 맞춰졌습니다. 

기술 중심의 스타트업은 ‘가능성’으로 움직이는 사람들의 집합이었습니다. 그만큼 자율성과 몰입도가 높고, 결과로 증명하려는 에너지가 강했습니다. 특히 패션테크 기업에서 비전 AI 기술을 실제 상품으로 구현하며 ‘기술이 비즈니스로 전환되는 과정’을 직접 경험했습니다. 이 경험이 지금의 리더십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좋은 개발 문화란, 속도와 완성도의 균형 속에서 팀의 문제를 정의하고 결과로 증명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합니다. 

Q. 리디에 합류하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스타트업에서 1단 로켓 역할을 오래 하다 보니 기술이 지속 가능한 구조로 확장되고 상품화되는 과정을 직접 만들고 싶었습니다. 리디는 겉으로는 콘텐츠 중심의 회사로 보이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AI, 데이터, 인프라 등 기술적 잠재력이 매우 높은 조직입니다. 기술이 콘텐츠의 가치를 확장하고 수익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잘 잡혀 있었죠. 그 안에서 개발자들이 자율적으로 실험하고 협업 하며 결과로 증명하는 문화가 인상 깊었습니다. 결국 리디 합류는 단순한 이직이 아니라 그동안 쌓아온 기술적 경험을 더 큰 스케일에서 실현하는 선택이었습니다.

.

.

코드보다 중요한 것은 경험의 품질

┃리디 개발센터는 ‘기술로 콘텐츠 경험의 품질을 책임지는 조직’ 입니다.

“AI, 데이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서비스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높이며, 모든 기술적 의사결정의 기준을 ‘사용자 경험’에 두고 있습니다.”

.

Q. 리디 개발센터는 어떤 조직인가요? 

리디 개발센터는 콘텐츠 경험의 품질을 기술로 완성하는 팀입니다. 엔드투엔드 TypeScript를 중심으로 움직이며, 모든 코드는 모노레포로 관리해 팀 간 경계를 넘는 협업과 가시성을 높였습니다. 커밋/PR 흐름만 봐도 서비스 전반의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죠. 무엇보다 완성도 높은 감상 경험을 위해 테스트 Q/A 커버리지를 높게 유지하고, 품질 기준을 배포 파이프라인에 강하게 걸어두고 있습니다. 기술의 이상보다는 팀이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현실적인 구조를 선택하고, 빠른 실험과 안정적인 운영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리디는 Defectless를 지향하는 완성도 중심의 개발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빠르게 만드는 것보다 제대로 만드는 것을 중시 그만큼 꼼꼼하게 작업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를 보장합니다. 플랫폼과 인프라를 표준화해 개발자들이 불필요한 반복 대신 본질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문서화와 리뷰 문화로 협업의 투명성을 높이려고 하고 있습니다.

Q. 리디 개발센터의 차별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리디는 콘텐츠 기업이지만 동시에 테크 기반의 서비스 회사입니다. 오랜 기간 축적된 방대한 유저 행동 데이터와 콘텐츠 자산을 기반으로 다양한 AI 모델을 직접 시도해보고, 실제 상품화까지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있습니다. AI를 연구로만 끝내지 않고 실제 사용자 경험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이 개발자로서 큰 매력입니다. 

인프라 측면에서도 실험의 여지가 많습니다. 비용 절감이 최우선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안정성이나 속도 개선을 위한 신규 기술이나 아키텍처를 PoC로 검증하고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기가 비교적 수월합니다. ‘잘 만드는 것’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죠. 

또한, 리디는 글로벌 유저 비중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만큼 해외 결제·CDN 효율화·다국어 대응 등 다양한 기술 과제를 직접 다루며 개발자가 실제 글로벌 서비스를 설계·운영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

.

AI와 함께 진화하는 개발 문화

┃AI는 리디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습니다.

“리디는 AI를 별도의 영역으로 두지 않습니다. 필요한 순간 자연스럽게 활용하고, 결과적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드는 문화를 지향합니다.”

.

Q. 최근 바이브코딩 등 AI를 활용한 개발 트렌드가 빠르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리디 개발센터는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나요? 

우선 AI 활용에 적극적입니다. 개발자들은 각자에게 맞는 AI 코딩 툴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팀 단위로 새로운 시도를 공유하면서 코드 품질과 생산성을 함께 개선하고 있습니다. 조직 차원에서도 사내 AI경진대회, 해커톤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논의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리디는 기술 변화에 뒤따르기보다는, 그 변화를 우리의 성장 동력으로 삼는 조직을 지향합니다.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개발자들이 더 창의적으로 일하고 팀이 더 빠르게 퍼포먼스 낼 수 있게 하는 촉매라고 생각합니다. 

Q. 실제 서비스나 개발 프로세스에 AI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요?

AI는 리디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이미 녹아있습니다. SRE팀은 AI기반 도구로 인프라 리소스 사용량을 자동 모니터링하고, Amazon Q 등을 활용해 로그·메트릭 데이터를 분석해 문제 원인을 빠르게 파악합니다. 신규 기술이나 SaaS 도입 시에도 AI를 활용해 스팩 검토·비용 예측·대체 솔루션 비교를 자동화하고, 의사결정 효율을 높입니다. AI는 실험의 대상이 아니라 서비스 안정성과 속도 향상의 실질적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

함께 성장해 나갈 개발 센터의 비전

┃기술과 조직이 함께 진화하는 테크 기업을 지향합니다.

“리디 개발센터는 AI기반 서비스 고도화, 효율적인 인프라 운영, 글로벌 유저 경험 개선을 통해 ‘콘텐츠 테크’의 새로운 기준을 세워가고 있습니다.”

.

Q. 리디가 그리는 개발 비전과 목표는 무엇인가요?

AI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빠르고 유연한 서비스를 만드는 것! 그 과정에서 운영 효율을 높이고 불필요한 복잡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구조뿐 아니라 조직 구조 또한 점진적으로 유연화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영역부터 모듈화·독립성을 강화해 각 조직이 스스로 의사결정하고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기술과 조직이 함께 진화하며 리디가 더 단단한 테크 기업으로 나아가는 것이 우리의 비전입니다.  

Q. 리디에서 함께하고 싶은 개발자는 어떤 사람인가요?

리디는 여전히 새로운 기술과 실험이 끊이지 않는 조직입니다. AI, 인프라, 글로벌 서비스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도전이 열려있습니다.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하게 설계하는 데서 즐거움을 느끼는 분, 기술이 상품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경험하고 싶은 분, 그리고 콘텐츠와 테크의 교차점에서 일하고 싶은 분이라면 리디 개발센터에서 그 가능성을 충분히 펼칠 수 있을 것입니다. 

.

고객과 발맞춰 새로운 콘텐츠 경험을 선보이는
리디와 함께할 당신을 기다립니다.

지금 리디는 채용 중
URL Copy
  • 개발센터
  • 개발자
  • 리디
  • 리디개발
  • 엔지니어
related story
    • All
    • People & Culture

    경험의 구조를 설계하다 ━ 고객 여정의 프레임워크

    I am RIDI_임선영 ㅣHead of Product Management(PM)

    • All
    • People & Culture

    서비스의 시작부터 완성까지 ━ 리디 개발자의 성장 공식

    I am RIDI_김희규 I Kanta SWE Lead

RIDI Corporation 주식회사리디
  • 개인정보처리방침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325 어반벤치빌딩 4,10,11층 (06151)
4,10,11F, Urban Bench, 325 Teheran-ro, Gangnam-gu, Seoul, Korea (06151)

© 리디주식회사 RIDI Corporation